춘천시 서면에 있는 박사마을 선양탑이다.
박사님들이 140여명에 가깝다고한다.
명탕터이기도 하지만 노력의 결과라고.
그런데 이곳의 유명세로 결혼식전.후에 신혼여행을 온다고한다. 이곳의 모텔에서 아이를 잉태하려고 <박사만들려고>ㅋㅋ
한승수 전 국무총리부부도 계시고..
1번부터 순서대로....
직원동생도 52번에 있고 옆지기 친구도 있고
138번이 마지막인데 중복된사람도 있고해서 140명 이상이라고..2013년 9월30일 현재
그외 다수의 인물들이..
백운동 모현비
강원 애니고등학교
독립투사 이준용.한용섭님의 기념비.
이준용
1860(철종 11)∼1945. 독립운동가, 호는 호암(湖岩)·용서(用瑞), 춘천 서면 방동리출신으로 3·1운동 당시 춘천 천도교 교구장이었다.
1907년 9월 의병장 지용기(池龍起)의병진에 가담하여 자기 집에 대장소를 설치하고 물심양면으로 의병진에 적극 지원하였다.
1910년 항일병탄을 전후하여 천도교 춘천지역 대표로서 독립자금 모금운동에 사유전답을 헌납하는 등 솔선수범하였다.
1919년 3·1만세운동 당시 윤도순·박순교와 같이 독립만세운동을 주도적으로 계획하였다.
이때 윤도순이 각지를 돌면서 선전계몽하다가 체포되자, 이준용은 허기준 등과 다시 협의하여 3월 28일 춘천 장날에 만세시위를 전개하기로 계획하였다.
그날(28일) 이준용·박순교·허기준 등이 태극기를 감추어 장터로 들어가 천도교인들을 중심으로 만세를 외치자 수십명의 군중이 호응하였다. 그러나 시위군중의 진압에 나선 일본군 수비대에 의하여 현장에서 모두 체포되었다. 이에 이준용은 동년 4월 경성지방법원에서 6월형을 선고받고, 6월 경성복심원과 7월 경성고등법원에서 형이 확정되어 서울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하였다. 1920년 출옥 후 강원도 전역을 순회하면서 청장년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하였으며, 1945년 4월 타계할 매까지 독립투사로서 오로지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정부에서는 1992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춘천 마실 살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이 내리네~ (0) | 2013.12.11 |
---|---|
무지개/2013년 11월25일 오후 (0) | 2013.11.29 |
공지천에서 바라본 춘천 풍경 (0) | 2013.11.09 |
춘천 문화방송 국화전시회.2013년 10월30-11월10일 (0) | 2013.11.09 |
강현철 플로리스트와 함께하는 국화전시회 (0) | 2013.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