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원도립화목원

피나물

by 무던 2016. 4. 27.


삿갓봉가는 길가에서 만난 피나물.


분류 여러해살이풀
학명Hylomecon vernale
분포지역 경기·강원 이북
자생지역 깊은 산 숲 속
번식
약효 온포기·뿌리
생약명 하청화근(荷靑花根)
30cm 정도
양귀빗과
채취기간 연중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특성 평온하며, 쓰다.
독성여부 있다.
1회사용량 온포기·뿌리 1∼1.5g
주의사항 오래 쓰면 좋지 않다.
동속약초 매미꽃


                       

    뿌리잎은 모여나며 잎자루가 길고 5~7개로 갈라지는 깃꼴겹잎이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짧고 5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되는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길이 1.5~5cm의 넓은 달걀꼴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게 깊이 패여 들어간 톱니가 있다.

    4∼5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 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1∼3개의 긴 꽃자루 끝에 1개씩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받침 조각은 2개이고 달걀꼴이며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4개이고 길이 2.5cm의 둥근 달걀꼴이다. 많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

    7월에 길이 3~5cm, 지름 3mm인 원기둥 모양의 삭과가 달려 익는데 양 끝이 가늘고 뾰족하다. 속에 흑갈색의 씨가 많이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방법

    하청화(荷靑花)·도두삼칠(刀豆三七)이라고도 한다. 또한 노랑매미꽃·봄매미꽃·여름매미꽃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매미꽃이란 종은 따로 있으므로 구분해서 써야 한다. 매미꽃과 거의 비슷하지만 땅속줄기가 더 길다. 짧고 굵은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많은 뿌리가 나온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며 곱슬털이 있고 자르면 피를 연상케 하는 황적색의 유액이 나오므로 피나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우리나라가 원산지이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독성을 우려내고 나물로 먹는다. 뿌리를 하청화근이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운동계·신경계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개창, 관절염, 농가진, 습진, 신경통, 옹종, 종독, 진통, 출혈, 타박상, 풍습, 항문주위농양, 행혈











    '강원도립화목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나무  (0) 2016.05.08
    구슬붕이  (0) 2016.05.08
    [스크랩] 할미꽃.꽃잔디.명자꽃.비비추/4월14일  (0) 2016.04.14
    홍벗나무  (0) 2016.04.04
    얼레지  (0) 2016.04.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