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원도립화목원

조개나물/강원도립화목원

by 무던 2020. 4. 7.


조개나물.




조개나물

다른 표기 언어 korean-pyramid-bugle 동의어 다화근골초




요약 테이블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꿀풀과(Lamiaceae)
학명Ajuga multiflora Bunge
본초명 다화근골초(多花筋骨草, Duo-Hua-Jin-Gu-Cao), 백하초(白夏草, Bai-Xia-Cao), 보개초(寶蓋草, Bao-Gai-Cao)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야의 풀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10~25cm 정도이고 전체에 긴 털이 밀생한다.

    근생엽은 큰 피침형이고 마주나는 경생엽은 길이 15~30mm, 너비 7~20mm 정도의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다.

     5~6월에 벽자색의 꽃이 총상으로 핀다.

    열매는 도란형으로 그물맥이 있다.

    ‘자란초’와 달리 키가 30cm 이하이고 백색의 퍼진 털이 밀생한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밀원용이나 관상용으로 심는다.

    특성

    쌍자엽식물(dicotyledon), 합판화(sympetalous flower), 다년생초본(perennial herb), 직립형식물(erect type),

    재배되는(cultivated), 야생(wild), 약용(medicinal), 식용(edible), 관상용(ornamental plant)

    적용증상 및 효능

    간염, 감기, 개선, 고혈압, 근골동통, 기관지염, 나력, 두창, 매독, 연주창, 옹종, 이뇨, 이질, 임파선염, 진정, 청열해독, 치창,

    치핵, 통리수도, 편도선염, 폐기천식, 활혈소종

    종자

    조개나물의 종자

    2000년 6월 7일 채종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육과정

    조개나물

    1990년 9월 20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조개나물

    1994년 8월 13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조개나물

    1996년 5월 12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조개나물

    2000년 5월 3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조개나물

    2000년 5월 3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조개나물

    2010년 4월 17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조개나물

    2010년 5월 3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조개나물

    2011년 9월 21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조개나물

    2012년 4월 20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강병화 집필자 소개

    대학원에서 작물재배학을 전공하고 독일에서 잡초방제에 관한 논문으로 농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고려대학교에 재직하며 재배환경, 잡초방제, 야생식물, 자원식물 등에 관한 강의를 하였다.

    출처

    우리주변식물생태도감
    우리주변식물생태도감 | 저자강병화 | cp명한국학술정보 전체항목 도서 소개

    꼭 알고 지켜야 할 우리자원식물의 생태와 가치를 총정리한 생태도감이자 생태의 보고이다. 주변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1,000여 종의 식물을 9,522장의 사진으로 담..펼쳐보기

    올괴불나무도 꽃이지고 열매가.


    박태기나무










    수양벚이 언제피었다 벌써 진건지 늦음이 아쉽다.



    수선화

    노루귀

    제대로인 수양벚나무







    2020.4.7일

    '강원도립화목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깽깽이풀/강원도립화목원  (0) 2020.04.07
    모데미풀  (0) 2020.04.07
    애기기린초/  (0) 2020.03.18
    개암나무  (0) 2020.03.18
    노루귀/바람꽃  (0) 2020.03.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