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던
2020. 4. 7. 13:25

족도리풀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세신, 만주족도리풀, 민세신, 민족도리풀, 뿔족도리풀, 조리풀, 족도리, 족두리, 족두리풀, 털족두리풀, 한성세신, 화세신
요약 테이블분류 | 쥐방울덩굴과 |
---|
서식지 | 반그늘 또는 양지의 토양이 비옥한 곳 |
---|
꽃색 | 자주색 |
---|
크기 | 키는 약 15~20㎝ 정도 |
---|
학명 | Asarum sieboldii Miq. |
---|
용도 | 관상용, 뿌리는 약용 |
---|
분포지역 |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
---|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
---|
개화기 | 5~6월 |
---|
결실기 | 8~9월경 |
---|
족두리는 옛날 여자들이 결혼할 때 머리에 쓰던 쓰개다.
작고 동그란 꽃 모양이 마치 족두리를 닮아서 족도리풀이라고 한다.
족도리는 족두리의 옛말인데, 옛말을 아직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들풀이다.
이 풀에는 슬픈 전설이 전해진다. 옛날 경기도 포천 지방에 아주 예쁜 소녀가 살고 있었는데, 꽃처럼 아름다워서 꽃아가씨라고 불렸다.
꽃아가씨는 산나물을 캐고 꽃나무를 심으며 생활하다 궁녀로 뽑혔으며, 궁궐에서 생활하던 중 중국으로 팔려가고 말았다.
결국 중국 땅에서 들판에 굴러다니는 풀처럼 살다 죽고 말았다. 그러는 동안 그녀의 어머니도 죽었다.
두 모녀가 죽은 뒤 그 집 뒷마당에 풀들이 자라기 시작했다.
그 풀에 핀 꽃은 여자가 시집갈 때 쓰는 족두리처럼 생겼으며, 이 이야기가 널리 퍼지자 많은 사람들이 구경을 왔다.
사람들은 그 꽃이 꽃아가씨의 한이 맺힌 꽃이라고 했고, 그 풀을 족도리풀이라 불렀다고 한다.
족도리풀은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반그늘 또는 양지의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잘 자라며, 키는 15~20㎝이다.
뿌리줄기는 마디가 많고 옆으로 비스듬히 기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폭이 5~10㎝이고 줄기 끝에서 2장이 나며 모양은 하트형이다.
잎의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잔털이 많으며 줄기는 자줏빛을 띤다.
꽃은 5~6월에 자줏빛으로 피는데, 끝이 3갈래로 갈라지고 항아리 모양이다.
잎 사이에서 올라오기 때문에 잎을 보고 쌓여 있는 낙엽을 들어내면 속에 꽃이 숨어 있다.
열매는 8~9월경에 두툼하고 둥글게 달린다.
쥐방울덩굴과에 속하며, 약재용 이름은
세신이라고도 한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뿌리는 약용으로 쓰인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족도리풀 압화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족도리풀 새순 올라오는 모습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족도리풀 잎이 자라는 모습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족도리풀 꽃대 올라오는 모습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족도리풀 꽃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족도리풀 변이체(정면)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족도리풀 변이체(옆면)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직접 가꾸기
족도리풀은 늦가을이나 이른 봄에 포기나누기를 하거나 9월경 받은 종자를 바로 뿌린다.
화분이나 화단에 심는다.
토양이 비옥한 반그늘에 심고 물 관리는 2~3일 간격으로 하면 된다.
가까운 식물들
• 뿔족도리 : 꽃받침이 매우 작다.
• 개족도리 : 잎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흰색 무늬가 불규칙하게 있다.
• 구족도리풀 : 족도리풀과 형태는 비슷하나 꽃에 통처럼 생긴 부분이 없는 것이 다르다. 또 꽃 색깔은 검은색이며, 시베리아 서부 및 유럽에 분포한다.
• 민족도리풀 : 족도리풀에 비해 잎이 약간 크고, 잎 뒷면에 털이 약간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정연옥 집필자 소개 마산대학교 한약재개발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야생화연구소 소장(원우바이오텍)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야생화도감-봄편/여름편/가을편>, <약용작물 재배와 이용&g..펼쳐보기
마산대학교 한약재개발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야생화연구소 소장(원우바이오텍)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야생화도감-봄편/여름편/가을편>, <약용작물 재배와 이용>, <야생화 약초도감>, <야생화백과사전-봄편/여름편/가을편> 외 다수가 있다. 마산대학교 한약재개발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야생화연구소 소장(원우바이오텍)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야생화도감-봄편/여름편/가을편>, <약용작물 재배와 이용&g.. 오장근 집필자 소개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원보전부장. (사)한국생태학회 부회장. (사)한국환경생태학회 이사. 한국보전생물학회와 한국생물과학협회 이사. 목포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이학박사. 저서로는 〈야생화백과사전-봄편..펼쳐보기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원보전부장. (사)한국생태학회 부회장. (사)한국환경생태학회 이사. 한국보전생물학회와 한국생물과학협회 이사. 목포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이학박사. 저서로는 〈야생화백과사전-봄편〉,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식생〉, 〈주도의 식생〉, 〈한국도서백서〉, 〈한국도서통계〉, 〈The Biodiversity and Protected Areas of Korea〉 외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원보전부장. (사)한국생태학회 부회장. (사)한국환경생태학회 이사. 한국보전생물학회와 한국생물과학협회 이사. 목포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이학박사. 저서로는 〈야생화백과사전-봄편.. 신영준 집필자 소개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 경인교육대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 센터 소장.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이학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 박사. 한국생물과학협회 이사. 저서로는 〈야생..펼쳐보기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 경인교육대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 센터 소장.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이학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 박사. 한국생물과학협회 이사. 저서로는 〈야생화백과사전-봄편〉, 초ㆍ중학교 〈과학교과서〉, 고등학교 〈생물교과서〉, 〈초등과학교육론〉 외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 경인교육대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 센터 소장.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이학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 박사. 한국생물과학협회 이사. 저서로는 〈야생.. 출처
야생화 백과사전 : 봄편 | 저자정연옥 | cp명가람누리 전체항목 도서 소개 산을 다니면서 새순이 올라오는 모습, 초본 식물의 군락지 모습, 꽃봉오리 상태, 꽃의 모습, 종자 결실되는 모습과 식물의 압화 등 다양한 식물의 한살이를 담아 총 20..펼쳐보기
산을 다니면서 새순이 올라오는 모습, 초본 식물의 군락지 모습, 꽃봉오리 상태, 꽃의 모습, 종자 결실되는 모습과 식물의 압화 등 다양한 식물의 한살이를 담아 총 206종의 식물과 약 1000여 컷의 사진을 수록하였다. 다양한 사진과 함께 야생화의 생태와 재배법, 가까운 식물들 목록, 학명과 이명 등 야생화 애호가인 일반 독자들과 관련 전공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소개한다. 산을 다니면서 새순이 올라오는 모습, 초본 식물의 군락지 모습, 꽃봉오리 상태, 꽃의 모습, 종자 결실되는 모습과 식물의 압화 등 다양한 식물의 한살이를 담아 총 20.. TOP으로 이동




산마늘

가지복수초



얼레지

개족도리풀

미치광이풀

팽나무

팽나무아래...

명자나무



백두산떡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