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춘천 마실 살피기

국립춘천박물관 제9기 박물관문화대학 수강생모집

by 무던 2014. 4. 22.

 

박물관문화대학
  • 운영목적
    -성인 일반을 대상으로 역사·문화 전문 강좌를 운영함으로써 시민들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 및 소양을 제고하고자 합니다.
    -지역 문화 융성 기조에 부응하여 강원 역사를 인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합니다.
  • 기간 : 2014년 5월 22일 ~ 10월 23일 매주 목요일(*8월중 방학)
  • 구성 : 총 15 강좌(강의 13회, 답사 2회)
  • 시간 : 10:00 ~ 12:00 (2시간)
  • 장소 : 국립춘천박물관 강당(답사 시 문화유적지, 타 박물관 등)
  • 대상 : 성인 200명(연인원 3,000명)
수강신청 기간 및 방법
  • 홍보기간 : 2014년 4월 15일(화)부터 5월 2일(금)까지
  • 접수기간 : 2014년 4월 22일(화) 09:00부터 5월 2일(금) 18:00까지 선착순 마감
  • 수강 확정 공지 : 2014년 5월 9일(금) 10:00 / 박물관 홈페이지 게시
  • 접수방법 : 소정의 수강신청서(안내데스크 및 홈페이지에서 배포)를 작성하여 사진 1매(3x4cm)와 함께
                   직접 방문 접수
  • 접수장소: 우리 관 안내데스크 (월요일 접수 불가)
  • 문의 : 학예연구실 (260-1522)
운영방침
  • 수강료는 무료(단, 답사시 소요 경비는 전액 수강생 자부담)
  • 박물관문화대학 기수료자도 수강 신청 가능
  • 15강좌 중 80%이상(12강좌 이상) 출석 시 국립춘천박물관장 명의의 수료증 발급
  • 특히 교육이수자는 다양한 분야별 자원봉사자 참여 기회 우선 제공

신청서다운로드

교육목적

2014년에는'역사歷史 속의 강원江原 인물人物'을 테마로 한 전문가별 강좌를 통해 강원의 인물을 되돌아 보고자 합니다.

제9기 박물관 문화대학 ‘역사歷史 속의 강원江原 인물人物’

2014년 제9기 박물관문화대학 - 역사歷史 속의 강원江原 인물人物
회차 날짜 주제 분야 강사 소속
1 5/22 개강식 국립춘천박물관
개강 기념 특별전 연계 특강
- 초상화로 보는 강원의 인물
한국미술사 최선주

국립춘천박물관장

2 5/29 전통회화 속‘인물’ 읽기
- 고사인물도 등
동양미술사 조인수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이론과 교수

3 6/5 시대정신을 담은 근현대 초상화
- 이황, 신사임당, 고종 등
한국미술사 조은정

미술평론가

4 6/12 강원의 인물과 예술
- 신사임당의 화조화
한국미술 이원복

경기도박물관장
前국립중앙박물관학예연구실장

5 6/19 조선후기 강원을 그린 진경산수화
- 조세걸, 정선, 김홍도 등
한국미술사 이태호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장

6 6/26 문화 유적 답사(파주 일원)
- 강원의 역사 인물
- -

국립춘천박물관

7 7/3 고대의 강원 인물
- 강릉김씨 김주원 등
통일신라사 김창석

강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8 7/10 태봉의 고도 ‘궁예도성’과 강원 인물
- 궁예, 왕건, 신숭겸 등
고려시대사 이재범

경기대학교
사학과 교수

9 7/17 강원을 담은 서예가
- 김수증, 김행, 허목, 김응현 등
한국서예사 이동국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학예연구관

10 9/11 강원의 종가 인물, 왕실 인물
- 선교장, 명성왕후(현종비), 단종 등
조선시대사 차장섭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
교양과정 교수

11 9/18 은일지향 강원도와 인물
- 원천석, 김수증, 김시습 등
조선시대사 이경구

한림대학교 교수,
한림과학원 부원장

12 9/25 문화 유적 답사(삼척 일원)
- 관동팔경, 그리고 죽서루
- -

국립춘천박물관

13 10/2 강원의 여성 문인
- 김금원, 신사임당, 허난설헌 등
한국고전문학 김풍기

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14 10/16 강원감영과 강원 관찰사
- 황희, 허목, 정철 등
조선시대사 오영교

연세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

15 10/23 강원의 의병
- 유인석, 윤희순, 이소응 등
한국근대사 원영환

前강원대학교 교수,
강원도문화원연합회장

수료식 국립춘천박물관

* 프로그램 내용 및 강사는 박물관 및 강사 사정으로 인해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2014. 02. 10. 수정)

  • 박물관문화대학체험 1
  • 박물관문화대학체험 2
  • 박물관문화대학체험 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