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 연화사
신라의 승려이며 풍수지리의 대가로 알려졌던 도선국사가 우리나라 산천지세를 점쳐 결정한 자리에 세울 비보사찰지를 선정하기 위해 순례하던 중 이 곳에 머물러 산 이름을 연엽산이라고 하였다한다.
이곳에 하룻 밤 야숙을 하던중 남녀 화신이 연화봉 쪽에서 내려와 정중히 인사를 하며 "참 잘 오셨습니다." 산이름도 좋고 이 곳에 비보 사찰을 세우기는 산에 기운이 너무 강하여 산기운이 누구러 질때까지 앞으로 천년의 시간이 지나면 불사의 인연자가 나타날 것이니 그때까지 터를 보호해주십시오라고 명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연유로 사찰하나 없이 천년이 넘도록 연합절골이라는 이름으로 보존되어 온 곳에 화담스님이 기도하던 중 이곳 불연지를 만나 불기 2537(1993)년 을해년에 불사를 시작하였다.
큰법당(연건평 680평) 3층 건물로서 1층은 식당겸 회관, 2층은 요사채(방 21개), 3층 법당에 부처님 7불과 관세음보살, 지장보살 9분을 상단에 모시고, 신중단, 지장단, 영단을 점안.낙성법회를 하였다.
아미타 대불/36미터
부처님 높이는 36미터(아파트 12층 높이)인 동양최대의 불상입니다.
우리나라 불교 역사상 처음으로 부처님 몸안의 복장으로 들어갔다 나올 수 있게 조성하였다.
복장안은 7층으로 되어있으며, 올라가면서 부모은중경과 극락도, 지옥도를 관람할 수 있게 하였다.
아미타 부처님 복장안으로 들어갔다 나오는 것은 부처님은 사생의 부모이시니,
우리 중생들이 부터님 몸에 들어가 다시 태어나 깨달음의 길을 찾자는 뜻이 가장 크다고 보겠다.
복장안에 부모은중경을 조성한 것은 오늘에 내가 있기까지 부모님의 10가지 큰 은혜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한 것이고,
극락도와 지옥도를 조성한 것은 일생을 살면서 선행과 악행으로 자기가 뿌린대로 과보를 받는 것을 상징하기 위함이다.
이러고 싶을까?ㅋ
오늘부터 훈련가는 아들이 마음에 쓰여 절 마당에 다 ....
춘천으로 송년회 가는길에 그냥 가기 아쉬워....홍쳔 연화사에 들러 구경하고
근처에 있는 강재구 소령 기념공원에도 들렀다.
강재구 소령은 1965년 10월 4일 월남전에 참가하기 위해 마지막 훈련 중 부하가
잘못 던진 수류탄을 보고 자신의 몸을 던져 부하들의 생명을 구하고 자신은 장렬하
게 산화하였다.
이러한 그의 살신성인의 높은 뜻을 기리기 위해 그가 산화한 이곳에 기념비를 세우
고 일대를 공원으로 조성하여 교육도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매년 10월4일에 고인의 유족과 육사 동기생들이 찾아와 고귀한 넋을 추모하고 있다.
이 공원은 서울 대경목재 김경황씨가 대지 1만여평을 희사하여 1973년에 완공 되었
으며, 1987년11월 기념비 옆에 건평 25평에 기념관을 세워 그의 유품 125점을 전시
아들이 오늘부터 훈련이라 남다른 시선으로 보게된 강재구소령 기념공원
멋진 군인으로 거듭나기위한 3주간의 훈련을 무사히 마치고 건강한 모습으로 돌아오길...
'강원도래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주문진 아들바위 (0) | 2013.02.28 |
---|---|
[스크랩] 마애공양보살상-강원도 유형문화재119호 (0) | 2013.02.28 |
[스크랩] 장전리 이끼 계곡 (0) | 2013.02.28 |
[스크랩] 산2 (0) | 2013.02.28 |
[스크랩] 한반도지형-영월 선암마을 (0) | 2013.0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