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보스톡
한국에서 비행기로 두시간 남짓 거리에 위치한 블라디보스톡. 블라디(vladi:정복하다)+보스톡(vostok:동쪽)이라는 지명 그대로 블라디보스톡은 1860년7월 2일 러시아 극동정책의 일환으로 건설된 도시로 1873년에는 러시아의 태평양쪽 주요 항구가 되었고 1800년에 도시의 지위를 획득하였다. 인구 70만에 이르는 이 곳은 오늘날 러시아 극동지방의 중심지가 되기에 이르렀다. 중국, 한국, 일본이 가까운 곳에 위치한 탓에 블라디보스톡은 일찍부터 무역, 외교, 상업의 중심지로서의 자리매김을 하였다. | |||||||||||||||||||||||||||||||||||||
1890년대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도시는 급진적인 성장을 하였고 전세계의 무역전문가, 자본가와 외교관들은 이 곳으로 몰려들었다. 또한 광활한 러시아 대륙을 잇는 최장의 철도인 시베리아 횡단열차의 시발착역이 건설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1917년의 러시아 혁명은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다. 소연방 시대에 이곳, 블라디보스톡에 극동함대 본부가 자리잡게 되면서 외국인들뿐만이 아니라 자국민들조차도 함부로 출입할 수 없는 군사상 보안지대가 되어 버린 것이다. 소연방이 해체되고 난 후인 1992년 1월에야 이 곳은 다시 개방되었다. 권력의 부재와 정부,지역간의 정치적 갈등 등이 이전의 영화를 되찾는데에 장애로 작용하고 있기는 하나 "동방의 진주"라는 옛칭호에 걸맞는 지위를 회복하기 위해 오늘도 블라디보스톡은 움직이고 있다.
|
블라디보스토크
위치 | 러시아 연해주 지방 |
---|---|
인구 | 606,653명 (2016 추계) |
면적 | 600.0㎢ |
언어 | 러시아어 |
대륙 | 유럽 |
국가 | 러시아 |
요약 동해의 아무르 만과 우수리 만 사이로 뻗어 있는 반도 서쪽에, 졸로토이 만을 감싸듯이 자리잡고 있다. 1860년 러시아 군사기지로 세워져 블라디보스토크라고 명명되었다.
러시아의 극동지방 남쪽 끝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항구와 해군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다. 1872년 러시아의 태평양 해군기지가 이전한 후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고, 1880년에 시가 되었다.
만주를 가로질러 치타에 중동철도가 건설되어 러시아 제국의 나머지 지역과 철도로 직접 연결되자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제1차 세계대전 때에는 미국에서 보낸 군수품과 철도장비를 들여오는 태평양의 주요항구였다. 1917년 혁명이 일어나자 여러 혁명집단의 활동근거지가 되었으며,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등의 외국 군대의 점령지였다.
외국 군대가 떠나자 이 도시의 반혁명세력은 바로 무너졌고, 소비에트 권력이 확립되었다.
동해의 아무르 만과 우수리 만 사이로 뻗어 있는 반도 서쪽에, 졸로토이 만을 감싸듯이 자리잡고 있다. 1860년 러시아 군사기지로 세워져 블라디보스토크('동방을 다스린다'는 뜻)라고 명명되었다.
러시아의 극동지방 남쪽 끝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항구와 해군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다. 1872년 러시아의 태평양 해군기지가 이전한 후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고, 1880년에 시가 되었다.
만주를 가로질러 치타에 중동철도(中東鐵道:중국 동부 철도, 1903 완공)가 건설되어 러시아 제국의 나머지 지역과 철도로 직접 연결되자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제1차 세계대전 때에는 미국에서 보낸 군수품과 철도장비를 들여오는 태평양의 주요항구였다. 1917년 혁명이 일어나자 여러 혁명집단의 활동근거지가 되기도 했으나 1918년에 외국(주로 일본) 군대에게 점령당했다. 미국·영국·프랑스·이탈리아·체코슬로바키아 군대는 1920년에 이 도시를 떠났으나 일본은 1922년 10월 25일에 마지막 부대가 철수했다. 외국 군대가 떠난 뒤 블라디보스토크의 반혁명세력은 바로 무너졌고, 소비에트 권력이 확립되었다.
블라디보스토크는 항구로서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여객선과 화물선은 대개 러시아 극동지역의 다른 항구를 이용한다. 블라디보스토크 항은 무르만스크에서 러시아 북극해안을 따라 뻗어 있는 북해항로의 동쪽 종점이며, 첼류스킨 곶 동쪽에 있는 북극해 연안 항구에 물자를 공급하는 중요한 보급기지이다.
1950년대초 외국 선박의 블라디보스토크 출입이 금지되어, 오늘날 국제 해상무역은 대부분 블라디보스토크 동쪽의 나홋카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수출품은 석유·석탄·곡물이며 석유제품과 생선이 주요수입품이다. 극동지역의 다른 항구에서 잡거나 가공한 생선도 블라디보스토크를 경유해서 다른 지역으로 수송된다. 러시아 북극 포경선단의 기지이기도 하다.
블라디보스토크의 공업기반은 공산혁명이 일어난 뒤 매우 다양해졌다. 대규모 선박수리소 이외에 철도 공작창과 광산장비를 만드는 공장이 있다. 경공업으로는 기계·라디오 공장, 목재 가공공장(특히 가구와 합판공장), 도자기 공장, 의약품 공장 등의 경공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생선, 육류 가공, 제분을 중심으로 식료품 산업과 조립식 건축자재 생산도 큰 비중을 차지한다.
철도도시로서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동쪽 종점이며 국내선 전용공항도 있다. 러시아 연방 극동지역의 교육·문화 중심지로서 극동과학 센터와 극동공립대학교(1920)·의과대학·예술대학·공과대학·상과대학·선박공학대학을 비롯한 고등교육기관들이 있다. 문화시설로는 음악협회와 교향악단 및 극단, 지방 역사박물관과 태평양함대 역사박물관 및 수많은 도서관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
시베리아 횡단 철도(러시아어: Транссибирская магистраль, 트란씨비르스카야 마기스트랄 영어: Trans-Siberian Railway, TSR, 문화어: 씨비리횡단철도)는 러시아의 우랄산맥 동부의 첼랴빈스크와 블라디보스토크를 연결하는 약 7,400km의 대륙횡단철도이다.[1] 정식명칭은 ‘대시베리아철도’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이 노선을 포함해 야로슬라브스키 역부터 블라디보스토크 역까지의 9,297km 구간을 지칭하며, 또한 넓은 의미로는 몽골 횡단 철도·만주횡단철도(동청철도)·바이칼-아무르 철도(제2 시베리아 횡단 철도)까지 포함해 시베리아 횡단 철도라고 부른다.
모스크바에서 시베리아까지의 구간은 1956년부터 2001년까지는 모스크바로부터 북동쪽 방향으로 모스크바~야로슬라블~키로프~페름~예카테린부르크를 경유하는 노선을 사용하였다. 2001년부터는 그보다 남쪽의 모스크바~블라디미르~니즈니노브고로드~키로프~페름~예카테린부르크 노선을 이용한다. 로시야 호는 모스크바의 야로슬라브스키 역을 출발하여 블라디보스토크 역까지 약 7일간에 걸쳐서 주파한다. 항공기가 등장하기 전에는 동양과 서양을 잇는 연락운송에 있어서 가장 빠른 교통수단이었다. 동양과 서양을 걸치는 노선이기 때문에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몽골과의 직통운전도 있다.
역사[편집]
시베리아 철도를 건설하는 안은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 철도가 완성된 후인 1859년에 이미 생겨났다. 이 철도는 극동지방의 군사적 의의의 증대, 식민, 대중국무역 등을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이 계획은 1850~60년대에 최초로 시작되었다. 예정선은 시베리아 가도를 따라 건설하기로 계획하고 1887년에 조사해, 1891~92년에 걸쳐 착공하고 1897년 부분적으로 개통되었다. 철도의 전철화는 1929년에 개시해서, 2002년에야 전 구간이 완료되었다.
이동 코스[편집]
극동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출발해 6박 7일을 달려 종착역인 모스크바에 도착할 때까지 총 60여 개의 역에서 정차한다. 시베리아횡단선은 아시아대륙 동쪽의 끝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출발해 중국 북부를 지나 바이칼 호를 남으로 끼고 이르쿠츠크, 노보시비르스크, 옴스크, 예카테린부르크를 거쳐 우랄산맥을 넘어 모스크바, 그리고 길게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그리고 핀란드의 헬싱키까지를 이어주는 철도이다.
- 주요 연결 도시
블라디보스토크 | → | 하바롭스크 | → | 울란우데 | → | 이르쿠츠크 | → | 크라스노야르스크 | → |
![]() | ![]() | ![]() | |||||||
노보시비르스크 | → | 옴스크 | → | 예카테린부르크 | → | 페름 | → | 모스크바 | |
![]() | ![]() | ![]() | ![]() | ![]() |
각주[편집]
- ↑ 〈시베리아 철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
Siberia鐵道 ‘시베리아 횡단철도’라고도 불린다. 보통은 유럽과 극동을 연결하는 모스크바-블라디보스톡간의 9,334km를 가리키지만 정식으로는 우랄산맥 동부의 첼야빈스크-블라디보스톡간의 약 7,400km의 철도를 말하는 것이다.
선상에서 마주보는 블라디보스톡
금각교
우리가 묵은 숙소
4인실 3개
4인실 3개
'베트남 다낭·블라디보스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수리전망대/루스키교/금각교 (0) | 2019.08.09 |
---|---|
극동연방대학교/블라디보스톡 루스키섬 (0) | 2019.08.09 |
프리모르스키 아쿠아리움/블라디보스톡 (0) | 2019.08.09 |
프리모르스키 아쿠아리움/루스키섬 (0) | 2019.08.09 |
해양공원 (0) | 2019.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