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원도립화목원

깽깽이풀/강원도립화목원

by 무던 2020. 4. 7.


올핸 너무 늦에가서 그런가 깽깽이풀이 씨앗이 맺히고 있었다. 아쉽다.




깽깽이풀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깽이풀, 황련, 조황련



      


분류 매자나무과
서식지 숲 주변의 반그늘
꽃색 홍자색
크기 키는 약 20~30㎝ 정도
학명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 Hook.f. ex Baker & S.Moore
용도 관상용, 약재
분포지역 우리나라와 중국
생활사 여러해살이풀
결실기7월경

                                  

    인용문
    강아지가 먹으면 깽깽거린다는

    왜 하필 깽깽이라는 이름이 붙었을까?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 풀을 강아지가 뜯어먹고 환각을 일으켜 ‘깽깽’거렸다고 해서 깽깽이풀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실제로 강아지가 이 꽃을 잘 먹는다.

    그런데 다른 이야기도 전해진다.

     연한 보랏빛 꽃이 유난히 예쁜데, 이 꽃이 필 때는 농촌에서는 아주 바쁜 시기다.

     농사를 준비하는 바쁜 철에 이렇게 아름답게 피어난 모습이 마치 일 안 하고 깽깽이나 켜는 것 같다고 해서 깽깽이풀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어느 이야기나 정겨움이 가득하다.


    이 꽃이 예쁘다고 집으로 가져다 심으려고 꽃줄기를 붙잡고 뽑으려고 하면 꽃만 따는 예가 많다.

     뿌리가 땅속에 아주 강하게 박혀 있기 때문이다.

    깽깽이풀은 전국 숲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숲 주변의 반그늘에서 가장 잘 자란다.

     키는 20~30㎝ 정도이며, 잎은 둥근 하트 모양이다.

    잎의 길이와 폭은 각각 9㎝쯤 되니까 키에 비해 큰 편이며, 잎의 가장자리가 조금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물에 젖지 않는 것도 이색적이다.


    꽃은 홍자색인데, 줄기에 하나씩 피며, 크기는 지름이 2㎝쯤 된다.

    그런데, 아쉽게도 꽃이 매우 약한 편이라 바람이 세게 불면 꺾이고 만다.

    열매는 7월경에 넓은 타원형 모양으로 달리며, 그 속에는 검은색 씨가 들어 있다.

     봄나들이에서 이 꽃을 보았다면 나중에 여름에 다시 가서 까만 씨를 얻어 화분이나 화단에 뿌리면 좋다.

     그러나 싹이 나더라도 꽃은 이듬해에 핀다.


    깽깽이풀이 자생하는 곳에 가보면 풀이 한 줄로 길게 자라고 있는 것을 흔히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아마 개미들이 땅에 떨어진 씨앗을 옮기는 과정에서 모두 옮기지 못하고 남은 씨앗이 싹을 틔운 게 아닌가 생각된다.

     식물들도 다 사는 모습이 다르니 신기하기만 하다.

    깽깽이풀은 매자나무과에 속하며, 뿌리가 노란색이라서 조황련 또는 선황련이라고도 부른다.

    꽃이 하도 예뻐 관상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물론 약재로도 쓰인다.

    우리나라와 중국에 분포한다.

    깽깽이풀 압화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깽깽이풀

    새순 올라오는 모습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깽깽이풀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깽깽이풀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깽깽이풀

    꽃이 지는 모습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깽깽이풀

    꽃이 진 후의 모습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깽깽이풀

    무리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직접 가꾸기

    깽깽이풀은 꽃을 키울 땐 활짝 피었을 경우에는 물을 주지 않는 것이 좋다.

    꽃이 약해서때문에 물에 손상을 입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을이 되면 잎이 말라서 없어지므로 물도 조금만 주도록 해야 한다.

    가까운 식물들

    왜황련 : 일본산 깽깽이풀로 하나의 줄기에 1~3개의 흰색 꽃이 핀다. 키는 10~25㎝이다.

    황련 : 줄기와 땅속줄기의 단면이 짙은 황색이다. 중국 원산으로 키는 10~27㎝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정연옥 집필자 소개

    마산대학교 한약재개발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야생화연구소 소장(원우바이오텍)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야생화도감-봄편/여름편/가을편>, <약용작물 재배와 이용&g..펼쳐보기

    오장근 집필자 소개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원보전부장. (사)한국생태학회 부회장. (사)한국환경생태학회 이사. 한국보전생물학회와 한국생물과학협회 이사. 목포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이학박사. 저서로는 〈야생화백과사전-봄편..펼쳐보기

    신영준 집필자 소개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 경인교육대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 센터 소장.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이학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 박사. 한국생물과학협회 이사. 저서로는 〈야생..펼쳐보기

    출처

    야생화 백과사전 : 봄편
    야생화 백과사전 : 봄편 | 저자정연옥 | cp명가람누리 전체항목 도서 소개

    산을 다니면서 새순이 올라오는 모습, 초본 식물의 군락지 모습, 꽃봉오리 상태, 꽃의 모습, 종자 결실되는 모습과 식물의 압화 등 다양한 식물의 한살이를 담아 총 20..펼쳐보기









    '강원도립화목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족도리풀/개족도리풀  (0) 2020.04.07
    가지복수초/화목원  (0) 2020.04.07
    모데미풀  (0) 2020.04.07
    조개나물/강원도립화목원  (0) 2020.04.07
    애기기린초/  (0) 2020.03.18

    댓글